티스토리 뷰
「사랑하는 까닭 - 한용운」, 내가 당신을 사랑하는 것은 까닭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 다른 사람들은 나의 홍안(紅顔)만을 사랑하지마는 당신은 나의 백발(白髮)도 사랑하는 까닭입니다.
나는나무 2024. 9. 10. 23:11
한스 토마
Hans Thoma
German, 1839-1924
Die Quelle (The Spring)
1895
사랑하는 까닭
한용운
내가 당신을 사랑하는 것은 까닭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
다른 사람들은 나의 홍안(紅顔)만을 사랑하지마는 당신은 나의 백발(白髮)도 사랑하는 까닭입니다.
내가 당신을 기루어하는 것은 까닭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
다른 사람들은 나의 미소만을 사랑하지마는 당신은 나의 눈물도 사랑하는 까닭입니다
내가 당신을 기다리는 것은 까닭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
다른 사람들은 나의 건강만을 사랑하지마는 당신은 나의 죽음도 사랑하는 까닭입니다
※출처:《님의 침묵》, 초판1926.
□ 김재홍 문학평론가 감상
가끔씩 제자들의 주례를 설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마다 처음에는 무슨 말을 어떻게 해야 할까 고민하곤 했더랬습니다. 그러다가 고안해 낸 것이 있습니다. 이 시 한 편을 외워서 그럴듯하게 암송해 주고 약간의 살을 붙여 주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그런대로 멋도 있다 싶고, 또 제 심정도 웬만큼 반영할 수 있어 성공적이었던 겁니다.
그렇습니다. 20여 년 서로 다른 환경에서 자라온 남녀 두 사람이 만나 결혼하는 데 상투적인 얘기를 하기보다는 이 시를 읊어 주는 게 무언가 새로운 느낌을 줄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지요. 사랑이란 젊은 시절 한때 하는 것이 아니지요. 홍안의 젊은 날 시작하여 백발이 되도록 한평생 애써 가꾸어 가는 정직한 농사인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즐거운 일, 행복한 미소만을 사랑하는 게 아니라 슬픈 일, 절망까지도 뜨겁게 껴안는 일일 겁니다. 아울러 건강할 때만이 아니라 병들어 고통 받고 절망할 때 오히려 더 절실하고 깊어지는 것입니다. 이승을 넘어 넘어 저승까지도 함께 가는 영원한 것이라는 뜻입니다.
사랑은 그만큼 진실하고, 정직하고, 치열하며, 일관성 있어야 하고 영원에 호소해야 한다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고 하겠습니다. 말하자면 삶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가치덕목으로서 진정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입니다.
제가 한용운을 존경하는 것도 바로 이런 까닭입니다. 혁혁한 독립투사라서, 깨침을 이룬 선구적 승려라서 또 《님의 침묵》의 시인이라서 꼭 그런 것만은 아닙니다. 오히려 한 평범한 인간으로서 그처럼 진정성을 지니고 일관되게 살아가려고 노력한 분이라는 점에서 저는 늘 그분을 존경하고 또 사랑하는 까닭이 있습니다.
※출처:《해지기 전 그대 그리워지면》,
문학수첩, 2003.
□ 한용운(1879~1944) 시인
1879년 8월 29일 충남 홍성군 결성면 성곡리에서 태어나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하고 부친으로부터 의인들의 기개를 전해 들으며 자랐다.
동학농민운동과 의병 봉기를 목격한 후 속리사, 백담사 등 여러 곳을 전전하며 고뇌하는 시간을 보냈고, 1904년 출가한 후 변질된 한국불교의 개혁을 위해 노력했다.
1913년 개혁방안을 제시한 지침서로 ‘조선불교유신론’을 발행했고, 승려교육을 위한 교재와 불교잡지 ‘유심’ 간행을 통해 불교 근대화와 대중화에 기여했다.
1919년 종교계를 중심으로 추진된 3‧1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한용운은 민족대표의 한 사람으로서 독립선언서에 서명하고, 3월 1일 오후 2시 종로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식을 이끌었다.
이로 인해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기도 했다.
1921년 출옥한 뒤에는 불교혁신운동, 민족운동, 물산장려운동 지원, 민족교육을 위한 사립대학 건립운동 등 다방면에서 활동했다.
그러던 1926년 지금도 잘 알려진 시집 ‘님의 침묵’ 출간 등을 통해 민족의 희망을 노래하기도 했다.
1933년부터 서울 성북동에 심우장이라는 집을 짓고 여생을 보내던 한용운은 그곳에서 집필 활동과 창씨개명 반대운동, 조선인 학병출정 반대운동을 펼쳤다.
한용운은 1944년 6월 29일 해방을 불과 1년도 채 남겨두지 않았던 시점에 입적했다. 그는 사후 불교의식에 따라 화장 된 후 서울 망우리묘지에 안장됐다.
정부는 민족대표로 3‧1운동에 앞장서고 불교개혁을 통한 사회개혁과 독립투쟁에 헌신한 한용운의 공적을 기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했다.
※출처: '미디어 붓' 기사 참조
'좋은 시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Total
- Today
- Yesterday
- 독서모임
- 아침
- 북관 백석
- 명시 감상
- 순은이 빛나는 이 아침에
- 이장욱 시인
- 이성미 시인
- 매션임파서블
- 유령들 이현승
- 눈
- 하얀 별
- 고둥껍질
- 나무
- 즐거운 소라게
- 독서
- 얼근한
- 사람이 죽으면
- 잠잠해졌다
- 내 다리 내놔
- 명시감상
- 카페
- 채갈피
- 바다
- 아름다운 시
- 밥
- 시골
- 사랑
- 우편 이장욱
- 좋은 시
- 북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